디지털 전환 추진 여부.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정보통신신문=김연균기자]
국내 중견기업들 가운데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인 기업이 2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416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1년 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실태조사’에서 이 같이 나타났다.
이번 실태조사는 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올해 처음 실시됐으며, 중견기업 416개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전환 인식 및 현황 △디지털 전환 역량 진단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기술 수요 등에 대해 조사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기업의 93.1%가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로 추진 중인 기업은 19.5%에 불과했다. 향후 추진을 계획 중인 기업은 35.6%로 조사됐다.
기업 스스로 평가하는 디지털 전환 대응수준을 5단계(0~4단계)로 구분했을 때 가장 기초적인 1단계(49.8%)와 미추진 단계인 0단계(32.5%)가 대부분이며, 가장 높은 수준인 4단계는 1.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추진분야는 조직 혁신(69.6%)이 가장 많고, 공정 혁신(66.7%), 제품 혁신(65.2%) 순이며,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기대하는 효과는 업무 효율화(73.8%)가 가장 많았다. 이어 직원 생산성 및 협업 개선(42.8%), 신규 제품 및 서비스 개발(27.1%)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 추진 과정에서의 애로사항은 △투자비용 문제(46.7%) △성과에 대한 불확실성(38.4%) △전문인력 부족(32.3%) △관련 인프라 부족(23.1%)이 뒤를 이었다.
디지털 전환 역량 진단을 묻는 질문에서 디지털 전환 전담 조직이나 인력을 보유한 기업은 23.8%에 불과하고, 추진인력은 기업 평균 9.8명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예산규모는 기업 평균 12억3900만원으로 매출액 대비 0.8% 수준이며, 10억원 이상의 예산을 책정하는 기업은 4.8%에 그쳤다.
최근 1년간 조직원이 디지털 전환 교육을 경험한 기업은 22.6%이고, 디지털 전환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은 기술개발 역량(54.3%), 프로세스 혁신 역량(50.0%), 생산화 역량(40.4%)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견기업이 디지털 전환 준비를 위해 대응이 필요한 분야는 △새로운 기술정보와 비즈니스 동향 파악을 위한 네트워크 활동(40.1%) △기업 자체적인 혁신활동 강화(36.8%) △동종 및 이업종 간 협력 확대(11.8%) 등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은 7.5%이고, 수혜분야는 금융 지원(71.0%)이 가장 많고, 기술 지원(38.7%), 인력양성 지원(25.8%) 순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은 디지털 전환 관련 △정보 제공(41.1%) △예산지원 확대(40.6%) △시장 활성화를 위한 환경 조성(30.8%) △전문인력 양성(27.6%) 순으로 조사됐다.
This article is from https://www.koit.co.kr/, if there is any copyright issue, please contact the webmaster to delet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