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빌리지 사업으로 추진된 ‘어르신 스마트 돌봄 서비스’. [사진=거제시]
[정보통신신문=차종환기자]
스마트빌리지 사업이 지역사회가 처한 각종 현안을 해결하는 데 적지 않은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최근 발간한 ‘농어촌 현안 해결과 균형발전을 위한 스마트빌리지 추진전략’ 보고서를 통해 정부의 스마트빌리지 사업 추진 성과와 향후 전략을 제시했다.
스마트빌리지 사업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23개 지자체에 걸쳐 60개 서비스를 발굴, 실증해왔다. 2023년부터는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 사업으로 편입될 예정이다.
대상분야는 총 4개 부문(△농어촌 소득증대 지원 △생활 속 안전강화 지원 △생활편의 개선 지원 △주민생활시설 스마트화 지원)으로 구분해 추진돼 왔다.
대표 사례를 살펴보면, ‘농어촌 소득증대 지원’ 사업으로 삼척시의 ‘사물인터넷(IoT) 융합기반 축우관리 서비스’가 있다.
삼척시는 19개 축사의 740두 축우의 관리 효율성 증대를 위해 체내 투여용 센서를 활용, 발정 및 분만시기, 질병 및 전염병 조기 예측 서비스를 구축한 바 있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축우의 체온이 비정상 범위에 있을 경우, 농장주에게 문자로 통보해 축우의 질병으로 인한 폐사 방지 및 대규모 전염병 확산을 미연에 차단했다.
‘생활 속 안전강화 지원’ 사업에는 거제시의 ‘어르신 스마트 돌봄 서비스’가 눈길을 끈다.
거제시 남부면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44명을 대상으로 IoT 센서를 설치, 개인의 기초생활반응 데이터 수집을 통해 취약계층 고독사 예방과 안전사고 신속 대응에 효과를 봤다.
이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의료∙헬스케어 서비스로 확장되며 보건의료 취약지역인 농어촌 지역의 데이터 기반 공공 의료서비스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생활편의 개선 지원’ 사업으로는 완주군의 ‘지능형 쓰레기 불법투기 방지 서비스’가 꼽힌다.
주요 쓰레기 불법투기 장소에 지능형 CCTV를 설치해 불법투기 모니터링 서비스를 구현, 투기자 접근시 LED 전광판 및 경고 안내로 쓰레기 불법투기를 예방했다.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AI 영상감지 솔루션을 이용해 무단 투기자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현황분석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로써 완주군은 쓰레기 불법투기 계도 60건, 불법투기자 과태료 처분 13건 등 지역 내 쓰레기 무단투기를 감소하고 지역주민의 경각심을 고취하는 성과를 거뒀다는 후문이다.
‘주민생활시설 스마트화 지원’ 사업으로 추진된 성남시의 ‘공공도서관 스마트 교육 서비스’는 교육강좌 돌봄센터 연계 및 참여형 증강현실(AR) 기술로 주목받았다.
공공도서관과 돌봄센터 간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축해 문화강좌 서비스와 같은 비대면 기반의 교육 환경을 제공했다.
아울러 단순 도서 제공만으로는 이용객의 만족도와 아동의 독서율 제고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해 AR 기반의 참여형 뮤지컬 및 게임형 서비스를 제공했다. 실제 공간에서 추출된 특징점의 포인트들을 통해 3차원 공간정보 맵 생성, 비콘 GPS 기반의 사용자 위치 파악,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상호작용 시스템이 적용됐다.
한편, 보고서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지능정보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기술을 중심에 두고 고안한 서비스 보다는 해결해야 될 현안을 정하고 이에 필요한 기술을 물색, 테스트해보는 접근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아울러 지능정보기술의 활용 문제는 더 이상 정보화 담당부서(정보전산팀, 정보통신과 등)가 전담해야 하는 영역이 아니며, 지자체 모든 공공행정 분야에서 ‘협업’이 이뤄져야 하는 사안이라는 지적이다.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지능형 서비스의 기획과 사업 추진을 전담하는 부서를 신설하고, 이 부서는 CEO 직할로 각 서비스의 실제 운영을 담당할 현업부서와 유기적으로 매칭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This article is from https://www.koit.co.kr/, if there is any copyright issue, please contact the webmaster to delet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