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디지털 치료기기 등 SW 의료기기 개발 늘어"

㈜뷰노의 의료영상 분석 소프트웨어. 환자의 좌측 손 X-ray 영상에 대한 골연령을 분석해 의료인이 환자의 골연령을 판단하는 것을 지원한다. [자료=식약처]

[정보통신신문=박광하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영상 검출, 진단 보조에 이어 치료 영역까지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는 소프트웨어(SW) 의료기기의 △분야별 임상시험 현황 △단계별 임상시험 현황 △허가 사례·현황 정보를 제공한다고 최근 밝혔다

SW 의료기기한 SW만으로 개발·제조돼 허가·인증·신고한 의료기기다.

식약처는 이번 정보 제공에 대해 디지털 치료기기 등 SW 의료기기 개발 현황을 안내해 의료기기 업체가 제품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분야별 임상시험 현황을 살펴보면, 질병의 '진단 보조' 분야 SW 의료기기 개발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우울장애 등 경증의 정신질환을 '예방·치료'하는 분야와 생체신호를 분석해 단기 질환 발생을 예측하는 '질환 예측' 분야의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진단 보조'의 경우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며 △대뇌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을 분석해 혈관폐색 진단 보조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 영상 이미지를 분석해 자궁경부암 진단 보조하는 제품 등이 개발되고 있다.

'예방·치료 분야'에서는 △생활 습관과 인지 능력 개선을 유도해 불면증 환자의 증상 개선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해 우울장애 환자의 자살 위험성을 평가하고 예방 △생활 습관 변화를 유도해 니코틴 의존 증상 정신·행동장애를 개선하는 제품 등이 개발되고 있다.

'질환 예측' 분야로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 중 특정 시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적 정보와 흉부 CT 영상을 기반으로 2년 이내 재발 가능성 예측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수축·이완기 혈압, 심박수, 호흡수, 체온 등의 전자의무기록 의료데이터를 분석해 급성 심정지 발생 예측하는 제품 등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SW 의료기기 임상시험 승인 건수는 2018년 6건, 2019년 17건, 2020년 21건, 2021년 26건, 2022년 5월까지 14건이다.

[자료=식약처]

단계별 임상시험 현황을 보면, 국내 SW 의료기기 임상시험은 2013년 첫 승인 이후 임상시험 승인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91건이 승인됐다.

식약처는 올해 5월까지 SW 의료기기 임상시험 14건이 승인됐으며 초기 연구 목적인 '탐색 임상시험'이 2건, 제품화 단계인 '확증 임상시험'은 12건 승인됐다고 밝혔다.

탐색 임상시험은 소수의 임상시험 대상자로 비교적 단기간에 걸쳐 실시되는 초기 임상시험, 확증 임상시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의 임상시험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임상시험을 의미한다.

[자료=식약처]

허가 사례·현황을 살펴보면, SW 의료기기는 의료인의 진단을 보조하기 위한 의료영상을 분석하는 제품으로 시작됐으며, 2018년 5월 AI에 기반한 첫 진단 보조 분야 SW 의료기기가 국내에서 허가됐다.

이후 AI 기술을 적용해 SW 의료기기는 점차 높은 민감도·특이도를 갖춘 수준으로 발전했다고 식약처는 전했다.

현재 의료영상뿐만 아니라 생체신호와 병리 조직 등을 분석하거나 환자의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는 다양한 AI 기반 의료기기가 허가를 받아 의료현장에서 쓰이고 있다는 사실도 덧붙였다.

[자료=식약처]

이 외에도, 식약처는 첨단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제품의 개발지원을 위해 '혁신의료기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된 19개 제품 중 11개가 AI을 적용해 질병의 진단을 보조하는 SW 의료기기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과학적 지식과 전문성에 기반해 의료기기 관련 제도를 적극적으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신성장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핵심인 디지털 치료기기 등 SW 의료기기가 신속히 제품화될 수 있도록 임상시험·품목허가 현황 등 업계에 유용한 정보를 지속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This article is from https://www.koit.co.kr/, if there is any copyright issue, please contact the webmaster to delet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