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도로지도 갱신주기 ‘실시간’급 박차

위성항법장치(GNSS), 라이다, 카메라 등의 센서들을 탑재하고 도로 노면 및 주변에 있는 지형지물의 위치와 시각정보를 취득하는 MMS 장비. [사진=김포시]

[정보통신신문=차종환기자]

정밀도로지도의 갱신주기를 최소화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정밀도로지도란, 차선∙표지∙도로시설 등 도로와 주변시설을 3차원으로 표현한 정밀 전자지도로 자율주행차는 정밀도로지도의 정보를 바탕으로 스스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도로정보 등을 인식하게 된다.

그간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지원을 위해 정밀도로지도를 전국 주요도로를 대상으로 구축(2021년 기준 2만653km)하고, 기존 구축구간 중 달라진 부분은 연 단위로 갱신해 민간에 무상으로 제공해 왔다.

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도로관리청에서 변경정보를 국토부와 공유하는 제도를 마련해 시행하는 등 최신의 정밀도로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자율주행자동차법’ 제22조에 따르면, 도로관리청은 관할 구역에서 도로노선의 변경 등으로 정밀도로지도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도로 변경사항을 국토부에 통보해야 한다.

하지만, 정밀도로지도 구축 물량이 많아지면서 변화정보를 신속히 파악하기 어렵고, 갱신 비용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정밀도로지도 관련 업계가 변화정보 수집을 위해 각 회사별로 인력 및 장비를 별도로 투입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 요구도 업계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국토부는 20일 정밀도로지도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축 및 갱신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자율주행 디지털 맵 포럼’을 발족했다.

본 포럼은 전자지도 제작, 자율주행 기술 관련 산∙학∙연∙관을 아우르는 총 52개 기관이 참여하는 논의체로서 제도협력, 기술협력, 사업협력 등 3개 분과로 구성∙운영될 예정이다.

포럼은 반기별 1회 개최하는 전체회의와 분기별 1회 개최하는 분과회의로 구분해 진행될 예정이며, 각 분과 회의에서는 민관이 수집해야 하는 도로 변화정보의 종류와 형식, 해당 데이터의 수집∙관리∙배포, 사업용 차량 등을 활용한 신속한 지도갱신, 관련 정보의 공유 및 사업 모델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향후 본 포럼을 통해 정밀도로지도 갱신 체계가 개선되면 민관이 중복으로 투입해 왔던 비용이 절감되고, 정밀도로지도 갱신 주기가 단축돼 자율주행차의 안전성 향상은 물론 도입시기 단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는 도로의 변화정보를 민간과 정부가 각각 별도로 반영∙갱신하고 있으나, 향후에는 민관이 협업해 통합된 정밀도로지도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예정이다.

아울러 현행 MMS(Mobile Mapping System)에 의존한 변화정보 탐지체계가 사업∙개인용 차량의 탐지정보까지 확대돼 연 단위의 갱신주기도 대폭 단축되도록 추진한다. 궁극적으로는 도로정보의 변화가 있는 즉시 지도 데이터가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수준까지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박지홍 국토부 자동차정책관은 “정밀도로지도의 효율적인 갱신과 관리에는 많은 정보∙시간∙비용이 필요한 만큼 관련 기관이 공동으로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산업 생태계 발전 차원에서도 긴밀한 협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This article is from https://www.koit.co.kr/, if there is any copyright issue, please contact the webmaster to delet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