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차종환기자]
인텐트 기반 네트워킹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인텐트 기반 네트워킹(IBN: Intent-Based Networking)이란, 네트워크 사용자의 의도(intent)에 맞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개념이다. 즉, 네트워크 스스로 사용자가 어떤 의도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자 하는지 해석하고, 그에 맞는 자원을 자동으로 배정 및 관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최근 ‘네트워크 자동화 오픈 플랫폼 동향’ 보고서를 통해 IBN 기술의 최신 트렌드를 조명했다. IBN 기술은 그간 해결하지 못했던 네트워크 관리 및 제어 이슈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대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러 벤더와 표준 기관들이 제시하는 IBN 모델은 구현 방식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AI 기반으로 사용자의 인텐트를 해석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맞도록 AI를 통해 네트워크 자원을 배정하며 △사용자의 인텐트가 보장되도록 동적으로 변화하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수집해 AI로 상황을 분석하고 적절한 추가 작업을 수행하는 3요소를 지닌다.
글로벌 네트워크장비 기업 시스코(Cisco)는 IBN 구현의 사례를 제시한 바 있다.
“내가 오전 10시에 화상회의가 있다”고 설정하면, 네트워크는 이를 바탕으로 일련의 기능을 수행한다.
원격 피어(Peer)에 대한 HD비디오 세션을 생성하고, 이 특정 세션에 필요한 종단간 서비스 품질 매개변수 생성, 대역폭 예약, 오디오 설정 및 성능 검증을 하면서 연결을 안전하게 유지한다. 세션이 끝나면 HD비디오 세션 연결을 끊고 종단간 서비스 품질(QoS) 세션을 제거하고 대역폭 예약을 제거하는 식이다.
이 밖에도,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하거나 특정 수준의 보안을 요청할 때 이를 인텐트로 정의하고, 이에 맞춤형으로 네트워크 구성 및 동적 운영관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IBN 기술의 장점은 네트워크에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곧 완전 자율 네트워크로의 진화에 요소기술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네트워크를 유지 및 관리하는 데 들이는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켜 운영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전통적인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자동 위협 탐지 및 대응 등을 통해 네트워크의 리스크를 크게 줄이면서 네트워크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는 IBN 모델을 크게 2가지 카테고리의 기능들로 정의하고 있다. 인텐트 이행(Intent Fulfillment)과 인텐트 보증(Intent Assurance)이 그것이다.
인텐트 이행 그룹은 사용자의 인텐트를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인텐트가 달성되도록 필요한 조치를 수행하는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전반에 걸친 구성 작업의 오케스트레이션 기능, 상위 수준 추상화(인텐트)를 하위 수준 매개변수 및 제어 노브로 변환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인텐트 보증 그룹은 네트워크가 실제로 인텐트를 준수하는지 확인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는 인텐트 이행 과정에서 취한 조치와 효과를 평가하는 데 필요하며, 결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기능을 학습하고 조정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한다.
3GPP는 무선망 관리 측면에서 IBN의 접목에 주목하고 있다.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는 자율 네트워킹을 위한 솔루션으로 제로터치 네트워크 및 서비스 관리(ZSM) 요소기술에 IBN을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여러 기구에서 진행 중인 표준안 개발이 완료되면 이를 바탕으로 IBN 기술이 실제 네트워크에 적용돼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중심 서비스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is from https://www.koit.co.kr/, if there is any copyright issue, please contact the webmaster to delet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