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R&D 혁신 바우처 사업이란
ICT R&D 혁신 바우처 사업은 기술력이 약한 중소‧중견 기업이 사업화에 필요한 ICT 기술을 대학‧연구소‧연구개발업 기업 등과 협력을 통해 기술력을 확보하고, ICT기술과 융합을 통한 산업, 제품 서비스 개발로 사업화 촉진을 위해 IITP에서 추진 중인 R&D 사업이다.
김철민 IITP 수석은 지난달 ‘2023년도 ICT R&D 혁신 바우처 지원사업 사업설명회’에서 “중소‧중견기업이 당장 필요한 기술에 대해 인력 충당, 자금, 시간 등을 충당하다 보면 시장 니즈와 상황 변화로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신청 기업에 대해 선정해 바우처를 지급하고, 전문 연구기관과 매칭해 수요 기술을 기관에서 개발하게 하고 결과물을 확보해 새로운 서비스 창출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기술 개발에 참여한 연구기관은 정부에서 사업비를 지원받게 된다.
2016년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2019년 10월 예타사업을 통과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3220억원 규모로 추진 중인 이 사업의 내년 예산은 402억원이며, 12월에 IITP를 통해 사업이 공고될 예정이다.
■사업 추진 성과 ‘성공적’
사업의 성과는 성공적인 편이다.
2016년 사용자 키, 몸무게 등 생체 인식해 맞춤형 안마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 자사 제품에 적용해 38억3000만원의 매출을 달성한 바디프렌드를 시작으로, 사업 누적 매출액은 213억원, 혁신 바우처 사업화 성공률은 69.1%로 확인됐다.
전기공사업 전문기업 대경산전은 산업 모터 적용 시스템의 에너지를 40%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최근 신기술 인증 획득, 중기부 성능인증을 거쳐 조달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해양안전솔루션 전문기업 지엠티는 원천기술 제품화를 위해 사업에 참여해 디지텍 시스템을 상용화하는 데 성공, 제주도 해양경계 레이더 시스템 구축 등 170여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망관제 솔루션 및 이동통신망 품질관리 솔루션 기업 모비젠은 전자통신연구원과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트랜스포트 SDN 컨트롤러 기술 개발을 추진해 SK텔레콤에서만 11억5000억원을 달성하고 국제 표준으로 2건이 채택되기도 했다.
세창실업은 이에스피와 함께 IoT 센서를 활용해 음료컵 크기에 맞게 자동으로 뚜껑을 포장하는 비닐 포장기를 개발해 지난해 맥도날드 400여개 매장에 납품해 8억원의 매출을 창출했다. 향후 버거킹 등 다른 패스트푸드점으로 거래처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파트론은 2019년 나노종합기술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스마트워치용 환형 심박센서 모듈을 개발해 13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강한손은 2020년 ETRI의 기술을 통해 카메라 기반 음성 및 광학문자인식 기술을 개발,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라이프케어 디바이스를 상용화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강원도청 등에 공급해 7억원의 매출을 냈다.
민테크유비즈정보기술은 지난해 중앙대와 전기차 사용 배터리 검사진단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개발, 33억원의 매출을 창출했다.
■유망 ICT 등 전분야 지원
ICT R&D 바우처 사업의 지원 분야는 미래자동차, 드론, 스마트시티 등 혁신성장 8대 선도 분야 및 5G, AI, 언택트 등 핵심기술 분야의 응용 및 사업화 기술개발이다. 김 수석은 “2020년 이후 비대면 분야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가급적이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분야를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지원 유형은 △융합촉진형(단기사업화, 12개월) △중기지원형 (중단기 사업화, 21개월) 2종류다.
융합촉진형의 지원 규모는 과제당 4~5억원 이내이며, 중기지원형은 총 8억원 이내다. 1년 이내 단기 사업화가 가능한 ICT 기반 이종기술‧산업간 융합 제품, 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를, 중기지원형은 ICT 혁신기술(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반도체 등)을 ICT 기반 이종기술‧이종산업간 융합 제품, 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한다.
김 수석은 “예타 사업을 준비하며 기업의 니즈를 들어보니, AI‧빅데이터‧메타버스‧반도체 등 분야는 이미 나와 있는 기술을 기업에 커스터마이징한다 해도 결과물의 신뢰성 높아야 하기에 1년보다는 2년 트랙이 필요하더라”라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수요기업(주관연구개발기관)의 경우 국내 ICT 및 비ICT 중소, 중견기업으로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전담부서를 보유하고 있는 법인사업자에 한한다. 수요기업을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명명한 것은 기술을 이전받는 수동적 위치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을 주도하는 주체로서의 기업의 정체성을 강조한 것이다.
기존에는 최근 결산 기준 자본전액 잠식인 모든 기업이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2023년부터 자본이 취약한 창업 후 3년 미만 기업의 경우는 신청할 수 있도록 개정됐다.
연구산업진흥법에 따른 주문연구개발업 영위 기업의 경우는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지원이 불가능하지만, 연구소기업은 이에 해당하지 않아 참여가 가능하다.
연구개발기관(공동연구개발기관)은 대학, 출연연 등 비영리기관 및 전문연구사업자(주문연구개발업 등록업체)다. 공동연구개발기관의 과제 책임자는 수요기업의 요구사항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연간 과제 1개만 수행할 수 있다.
■자사 부담금 ‘5%’ 불과
연구개발비는 정부지원+기관부담금으로 구성되며, 중견기업의 경우 연도별 6.5% 이상, 중소기업은 5% 이상을 현금으로 부담해야 한다. 이는 여타 R&D 사업 대비 민간부담금 비중을 크게 낮춘 수준이다. 또한 기업은 정부지원금 10% 이내에서 기업이 시장 조사 등 사업화지원 컨설팅 비용을 편성할 수 있다.
연구개발 결과물에 대한 소유권은 공동연구개발기관에 귀속된다. 하지만 수요기업에는 전용실시권을 5년을 부여하고 이후 통상실시권을 3년 추가적으로 제공해 수요기업은 해당 지식재산권을 8년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지원 가능 횟수는 최대 2회로, 두 번째 지원 신청을 위해서는 첫 번째 사업에서 정부출연금의 4% 이상의 매출이 발생해야 한다.
사업 심사기준은 사업성(50~60%)과 기술성(40~50%)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사업성 측면에 방점이 실린다. 김 수석은 “기술은 연구기관이 이미 보유한 기술을 기업이 원하는 형태로 커스터마이징하는 경우가 많아 결과물이 좋은 편”이라며 “바우처 사업 추진 계기 중 하나가 R&D 정부지원금을 받고는 사업화하지 않는 좀비기업 척결이기에, 사업화 가능성이 굉장히 중요하다. 사업화 성공 가능성과 이에 대한 CEO의 의지, 기업 역량을 굉장히 꼼꼼하고 자세하게 강조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주관연구기관과 공동연구기관 간 기술 매칭은 온오프라인을 통해 이뤄진다. 온라인으로는 기술 매칭 플랫폼인 ‘이지 매칭시스템(https://ezmatching.iitp.kr)’에 수요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에 대해 상세히 기재해 업로드하면 연구기관 및 중개기관에서 상시모니터링을 통해 매칭을 추진한다.
오프라인으로는 매년 8월과 10월 수요기술 접수를 받아 11월 수요기관과 연구기관의 만남의 장인 ‘매칭데이’를 통해 수요기술 및 연구자 기술력 발표, 매칭 상담이 이뤄지기도 한다.
This article is from https://www.koit.co.kr/, if there is any copyright issue, please contact the webmaster to delete it.